2단계: 글의 구조 뼈대 만들기
주제를 선정했다면 이제는 글의 뼈대를 설계할 차례입니다. 서론–본론–결론 구조를 먼저 세운 뒤, 실제 작성 과정에서 방향을 잃지 않고 논리적·체계적으로 완성할 수 있습니다. 이 단계에서는 AI 윤리와 저작권도 함께 고려하여 참고 자료와 시각자료의 출처를 명확히 하는 습관을 길러야 합니다.
글의 기본 구조
- 서론 — 주제 선택 배경, 문제의식, 글의 목적과 범위
- 본론 — 프롬프트 설계, 반복 개선 과정, 사례·데이터·도표·이미지
- 결론 — 핵심 발견, 한계와 위험성, 향후 개선 방향 및 독자 제안
프롬프트 활용 기법
본론에서는 다양한 프롬프트 기법을 활용하여 결과물의 차이를 비교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.
- ① 시스템 프롬프트 — 기본 역할 지정
예: “너는 법률 전문가다. 주어진 사례에 대해 법률 자문을 제공하라.”
- ② Chain of Thought (CoT) — 단계적 사고 유도
예: “단계별로 근거를 나누어 생각하고 논리적으로 답하라.”
- ③ 반복 피드백 (Iterative Prompting) — 개선 과정 기록
예: “첫 번째 답변 후 수정할 점 3가지를 제안하고 반영해 다시 작성하라.”
- ④ 롤플레잉 (Role-playing) — 역할 기반 시뮬레이션
예: “너는 교수, 나는 학생. 초등학생 수준에서 상대성 이론을 설명하라.”
- ⑤ 시각자료 요청 — 결과를 그림/표로 표현
예: “이 과정을 표와 다이어그램으로 시각화하라.”
👉 이 5종 기법을 다양하게 조합해 활용하면 글의 깊이와 설득력이 크게 향상됩니다.
AI 윤리 & 저작권 지침
- 자료 활용 시 CCL(크리에이티브 커먼즈) 라이선스 또는 공개 데이터 우선
- AI 생성 이미지/표는 “AI 생성” 표시
- 외부 자료 사용 시 출처+라이선스 명시
- 논문·보고서 참조 시 요약·인용 방식 활용, 원문 그대로 복붙 금지
- GPT 등 AI의 도움을 받았다면 AI 활용 사실을 보고서에 표시
글의 구조 뼈대: 서론 · 본론 · 결론
주제를 정했다면 이제는 글의 세부 구조를 설계할 차례입니다.
서론–본론–결론을 나누어 각 파트에 어떤 내용을 넣을지 미리 계획하면 글쓰기가 훨씬 체계적으로 진행됩니다.
서론 (도입부)
- 주제 선정 이유: 왜 이 주제를 다루는가?
- 문제 제기: 사회·산업·학문적으로 어떤 이슈인가?
- 목표와 범위: 글에서 다루는 질문과 한계
👉 서론은 독자에게 “왜 이 글을 읽어야 하는가”를 설득하는 부분입니다.
본론 (핵심 전개)
1. 프롬프트 설계 과정
시스템 프롬프트
Chain of Thought
반복 피드백
롤플레잉
→ 다양한 프롬프트 유형을 활용하여 결과물의 차이를 비교합니다.
2. 자료와 사례
- AI 이미지 ≥ 5
- 도표 또는 인포그래픽 ≥ 2
- 공개 데이터·연구 보고서 활용 (출처 표시 필수)
3. 분석
- 프롬프트 조건에 따라 결과물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비교
- 각 프롬프트 기법의 강점과 한계 평가
결론 (마무리)
- 핵심 발견: 본론에서 얻은 주요 교훈 요약
- 한계와 위험성: 이번 글과 실험에서 드러난 제약
- 향후 계획: 개선할 점과 독자에게 줄 제안
👉 결론은 글 전체의 메시지를 강화하고, 독자에게 “다음 단계”를 제안하는 부분입니다.
계속해서 3단계: 체크리스트 & 제출 가이드로 이동하세요.
👉 3단계 페이지로 가기